원자력연구원, 미세먼지 체내 움직임 비밀을 풀다
원자력연구원, 미세먼지 체내 움직임 비밀을 풀다
  • 이재용 기자
  • 승인 2018.11.28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몸 속 미세먼지 한 톨까지 잡아내는 분자영상 기술 개발
인체 유해성 및 기초 의학 연구 활용 등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
미세먼지 표준물질의 체내 영상화 연구 과정.
미세먼지 표준물질의 체내 영상화 연구 과정.

[일렉트릭파워 이재용 기자] 최근 미세먼지의 체내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주목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직무대행 백원필)은 첨단방사선연구소 생명공학연구부 전종호 박사 연구팀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미세먼지의 체내 분포를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자동차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1μm 미만 크기)와 동일한 유형의 미세먼지 표준물질(DEP, Diesel Exhaust Particulates)과 방사성 동위원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미세먼지 샘플을 실험용 쥐의 기도와 식도에 각각 투입하고 RI-Biomics시설의 핵의학 영상장비를 활용해 장기 내 DEP의 축적량과 장기들의 상태를 촬영했다.

RI-Biomics 시설은 인체를 투과해 체내 물질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RI, Radioisotope)의 특성을 생명체학(Biomics)에 적용한 융합연구 시설.개발 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에 미량의 방사성동위원소를 합성한 뒤 동물 등 실험체에 투여함으로써 실험체내 해당 물질의 분포 정도를 촬영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입을 통해 식도로 유입된 DEP은 체외 배출까지 단 이틀이 소요됐으며 이동 중 다른 장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기도를 통해 노출 된 미세먼지 표준물질 영상.
기도를 통해 노출 된 미세먼지 표준물질 영상.

반면, 코를 통해 기도를 거쳐 흡입된 DEP은 같은 기간 60%가량 폐에 축적됐으며 배출에도 7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또 배출 과정 중 소량의 DEP가 간과 신장 등 일부 다른 장기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영상화 기술 개발 성공은 종래의 분석 화학적 방법(실험체 부검을 통해 확보한 장기에서 유해물질을 추출해 정량하는 실험 기법)으로는 불가능했던 체내 미세먼지의 실시간 축적량 및 움직임, 배출 상태를 살아있는 실험체에서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전종호 박사는 “핵의학 영상 기술을 활용해 체내 유입된 미세먼지의 분포도 및 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현재 의학계에서 주목하는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다양한 질환의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지원하는 등 향후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활로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6일 국제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Chemical Communications)’에 온라인 게재됐으며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