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 시급하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 시급하다
  • EPJ
  • 승인 2010.06.11 1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하는 원자력연료(핵연료)는 원자로 속에서 핵분열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핵연료를 약 3주기 정도 원자로 내에서 연소시키면 더 이상 충분한 열을 생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적인 전력생산을 위해 새로운 핵연료로 교체하고 연소된 핵연료는 원자로에서 인출하는데, 이때 인출된 핵연료를 사용후핵연료라고 한다.

사용후핵연료는 외형상으로는 사용전연료인 핵연료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지만 발전소의 원자로 속에서 핵분열 반응 중 생긴 핵분열 생성물 때문에 높은 방사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핵분열 반응은 끝났어도 계속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취급할 때나 저장할 때 사람이 직접 접촉할 수는 없고 방사선을 막아주는 차폐구조물 밖에서 다뤄야 한다.

사용후핵연료에는 우라늄의 핵분열로 발생한 세슘 등의 핵분열생성물이 만들어지지만, 약 96% 정도는 타고 남은 우라늄과 핵분열 하기 어려운 우라늄에서 생긴 플루토늄 등 아직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포함돼 있다.

현재 원전 운영으로 발생된 사용후핵연료는 발전소 내 수조에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의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 다른 저장수조 또는 건식이나 습식 중간저장시설(우리나라는 없음)로 운반해 저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16년까지는 발전소 내 시설에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2016년 이후로는 고리를 시작으로 저장용량이 초과될 것으로 예상돼 사용후핵연료 정책의 수립이 시급한 시점이 됐다.

2004년 원자력위원회에서 최종관리정책을 추후 결정하기로 의결한 후 벌써 6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사용후핵연료 정책이 어떻게 될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상태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문제는 단순히 어떻게 하겠다고 결정한다고 해서 될 문제가 아니다. 기술적으로야 큰 문제가 없겠지만, 한·미 원자력협정과 사회적 수용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빠른 정책 결정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2016년을 마지노선으로 볼 때 건설에 드는 시간만 해도 3~4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데 공감대 형성과 부지선정, 보상 등의 사회적 과정이 그 못지않게 들 것이기에 올해를 넘기면 사실상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이 건설되기도 전에 현재의 저장시설은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다.

우리에게 사용후핵연료 관리방법 선택은 당장 결정해야 할 문제가 됐다. 직접처분이든, 재활용이든 한 방향을 결정해 미국과의 외교에 집중하고, 국민과의 허심탄회한 대화가 있어야 한다. 마치 폭탄 돌리기처럼 미루고만 있으면 원자력 수출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원자력을 수출하는 국가가 핵주기의 완성인 사용후핵연료 관리방법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면 어디 체면이 설 것인가.

정부는 하루빨리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와 빠른 정책 결정에 나서주기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