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해상풍력 확대 견인한 리스 라운드·CfD 살펴보니
영국 해상풍력 확대 견인한 리스 라운드·CfD 살펴보니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4.03.06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주도 입지발굴… 투자 확대·공급망 안정화 이어져
기준가격 보장 투자 불확실성 해소… PF 긍정적 영향
주한영국대사관은 3월 5일 한국풍력산업협회와 함께 한·영 양국 해상풍력 개발 환경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제4회 한·영 해상풍력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주한영국대사관은 3월 5일 한국풍력산업협회와 함께 한·영 양국 해상풍력 개발 환경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제4회 한·영 해상풍력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정부 주도 계획입지를 통한 해상풍력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입지선정, 인허가, 비용정산 등 체계적인 지원 프로세스 구축으로 해상풍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는 영국 해상풍력 개발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주한영국대사관은 3월 5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한국풍력산업협회와 함께 한국과 영국 양국 해상풍력 개발 환경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제4회 한·영 해상풍력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양국 해상풍력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에선 풍력 보급 확대 일환으로 양국에서 도입하고 있는 RPS제도와 발전차액정산제도(CfD) 현황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토니 크렘슨 주한영국대사관 산업통상부 상무참사관은 개회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과 탈탄소화를 위해 양국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니 크렘슨 상무참사관은 “양국 모두 관심이 큰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 가속화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며 “불과 10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난 14GW 규모 해상풍력을 개발한 영국의 경험이 한국 해상풍력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칼존 영국 산업통상부(DBT) 해상풍력부문 전문가는 영국 해상풍력 개발과정 경험을 소개했다.
칼존 영국 산업통상부(DBT) 해상풍력부문 전문가는 영국 해상풍력 개발과정 경험을 소개했다.

리스 라운드 입찰로 사업자 선정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칼존 영국 산업통상부(DBT) 해상풍력부문 전문가는 계획단계부터 착공·운영에 이르는 영국 해상풍력 개발과정 경험을 소개했다.

칼존 전문가는 “영국은 최근까지 14.2GW 규모의 해상풍력을 가동 중인 가운데 2030년까지 50GW 규모로 해상풍력을 늘려 에너지자립과 탄소중립 목표에 접근할 계획”이라며 “이 같은 목표에는 5GW 규모 부유식해상풍력 개발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 정부 소유의 해양 자산을 운영·관리하는 크라운 에스테이트와 크라운 에스테이트 스코틀랜드가 경매 형태인 리스 라운드를 통해 해상풍력 입지선정을 총괄하고 있다”며 “2000년 이후 총 85GW 규모에 걸쳐 7차례 리스 라운드가 진행된 가운데 2018년 진행된 4차 리스 라운드의 경우 8억7,900만 파운드(약 1조4,800억원) 상당의 임대수익을 올렸다”고 덧붙였다.

영국 정부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적합한 개발지구를 선정해 경매방식으로 사업자를 결정하는 리스 라운드를 2000년부터 도입했다. 개발권을 확보한 사업자는 개발지구 가운데 최적 입지를 찾아 사이트를 구축하게 된다.

예측 가능한 시기에 대규모 해상풍력 시장이 순차적으로 열리다보니 기업 투자 또한 자연스럽게 확대돼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급망이 구축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 정부의 정책 신뢰성이 해상풍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칼존 전문가는 “지난해 진행한 5차 리스 라운드는 개발비용 이슈로 인해 입찰에 참여한 사업자가 없었다”며 “지속가능한 해상풍력 확대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6차 리스 라운드에선 보조금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국에서도 해상풍력 확대와 관련해 인허가·전력계통·인프라 등이 주요 현안으로 논의되고 있다”며 “인프라 확충의 경우 해당 비용 지출을 놓고 누가 부담할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강금석 한전 전력연구원 융복합연구소 수석연구원, 칼존 영국 산업통상부 해상풍력부문 전문가, 김범조 KEI컨설팅 상무(왼쪽부터)는 패널토론에서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양국 정부 과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강금석 한전 전력연구원 융복합연구소 수석연구원, 칼존 영국 산업통상부 해상풍력부문 전문가, 김범조 KEI컨설팅 상무(왼쪽부터)는 패널토론에서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양국 정부 과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CfD, 수익 안정화로 시장 활성화 뒷받침
영국이 해상풍력 시장을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 정책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게 발전차액정산제도(CfD)다. 영상을 통해 포럼에 참여한 오메르 아마드 LCCC(Low Carbon Contracts Company) 정책·개발 매니저는 해상풍력 보조금 역할을 하는 CfD를 통해 사업자 수익 안정화와 공급망 구축을 유도했다고 영국의 해상풍력 활성화 정책을 설명했다. LCCC는 영국의 저탄소에너지 관련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는 비영리기업이다.

오메르 아마드 매너지는 “영국은 한국의 RPS제도와 유사한 RO(Renewable Obligation)제도를 2002년부터 운영하다 2014년 CfD로 본격 전환했다”며 “입찰을 통해 지원금액을 결정하는 CfD는 15년 장기계약으로 투자 불확실성을 낮추는 기능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CfD는 상법에 따른 계약이라 프로젝트 신뢰성이 높아져 금융조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발전사업자의 일정 수익을 보장하는 체계라 해상풍력 투자 확대로 이어져 시장 활성화에 큰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업 Baringa의 루이스 헤더 디렉터도 영상을 통해 CfD 특징과 보완점을 소개했다.

루이스 헤더 디렉터는 “CfD는 전력시장가격인 SMP 변동과 상관없이 정해진 정부 기준가격을 보장해주는 제도”라며 “전력거래가격이 정부 기준가격보다 낮아지면 정부가 차액을 보전하고, 반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업자 수익을 환수하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또 “경쟁입찰로 인해 계약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봤지만 사업자 증가와 기술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경제적 측면의 비효율성 또한 커져 CfD 개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에너지저장 기술 도입을 비롯해 현실적인 사업비 반영을 위한 CfD 설계 변화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제4회 한·영 해상풍력산업 포럼’ 전경
‘제4회 한·영 해상풍력산업 포럼’ 전경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