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차 전기본에 담긴 풍력 보급계획 살펴보니
10차 전기본에 담긴 풍력 보급계획 살펴보니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3.03.21 0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전량 전망치 따른 평균 이용률 23% 수준
해상풍력 사업성 흔들… LCOE 낮추려 했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연도별 풍력 발전량 및 이용률 전망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연도별 풍력 발전량 및 이용률 전망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정부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강조한 대목은 실현 가능한 정책 수립이다. 에너지안보 강화를 위해 균형 잡힌 전원믹스가 필요한데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현재의 보급여건을 고려해 확충 계획을 수립했다는 것이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긴 내용을 놓고 에너지안보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란 의견이 있는 반면 글로벌 에너지정책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재생에너지 정책방향에 담은 발전설비 보급계획과 발전량이 현실적인 여건을 반영한 것인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면밀한 검토 없이 끼워 맞추기식 목표 제시로 시장 불확실성만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공급 안정화를 위해 당초 원전과 석탄발전 같은 기저발전의 적절한 건설 계획을 마련하고자 도입된 제도적 장치다. 시대적 상황이 바뀌면서 설비용량 중심의 발전설비 증설보다 전원별 발전량 구성이 중요해졌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믹스를 정책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환경급전 도입이나 재생에너지 확대 등 관련 제도 개편이 추진된 이유다.

관건은 전력수요에 맞춰 전력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발전설비를 중장기계획에 담아내는 일이다.

정부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전원별 발전량 전망에서 원전 계속운전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 전력계통 제약 등 다양한 변수로 변동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즉 풍력·태양광 출력제어율 3%로 가정해 전원별 발전량과 발전비중을 제시했지만 운영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육상풍력·출력제어 감안해도 이용률 낮아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긴 2023년부터 2036년까지 14년간 풍력 발전량 전망치를 따져보면 평균 이용률은 23% 수준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풍력보급 목표량의 상당 부분이 해상풍력으로 채워지는 상황에 비춰볼 때 육상풍력 이용률과 출력제어율 등을 반영한 발전량이라 치더라도 너무 낮은 수치다.

통상적으로 해상풍력 사업자는 풍력터빈 경쟁입찰 시 에너지생산량·이용률·유지보수 등의 기술적 측면과 기자재 가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풍력터빈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해당 항목들은 생산전력 kWh당 평균 발전비용을 의미하는 LCOE를 산정할 때 적용되는 요소라 사업자는 물론 정부 입장에서도 관심을 갖는 부분이다.

LCOE를 계산하는 산식을 보면 분자에 초기투자비·운영유지비 등의 개발비용을 두고 분모에는 발전량이 들어간다. 즉 LCOE를 낮추기 위해선 발전량이 높아지거나 개발비용을 줄여야 한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풍력 발전량 전망치상 LCOE 하락을 유도하려면 개발비용을 낮춰야 하는데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대란 영향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해상풍력단지 이용률은 바람을 비롯해 사이트 위치, 풍력터빈 모델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치를 나타낸다. 바람이 좋은 유럽의 경우 40~50% 수준의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해역에선 30% 내외면 어느 정도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현재 가동 중인 30MW 규모 탐라해상풍력의 지난해 연평균 이용률은 29.1% 수준이다. 60MW 규모로 건설된 서남해 실증단지는 블레이드 교체 등으로 아직 연평균 이용률을 산출하기 어렵지만 바람 여건상 탐라해상풍력보단 낮은 이용률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연도별 풍력 보급량과 발전량을 비교해보면 전반적으로 이용률이 낮게 산출된다”며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지도 않았는데 LCOE를 낮추기 위해 이용률을 의도적으로 축소한건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풍력·태양광 연도별 신규 보급전망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풍력·태양광 연도별 신규 보급전망

풍력 보급목표 관건은 ‘해상풍력’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풍력설비 보급목표는 2030년 19.3GW에 이어 2036년 34.1GW 규모다. 2022년 기준 누적 설치량 1.8GW 대비 각각 10.7배와 18.9배 가량 늘어나야 달성할 수 있는 목표다.

연도별 신규 보급량은 올해 396MW를 시작으로 매년 수백 MW씩 늘어나다 2027년부터 GW 단위로 확충될 전망이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2029년과 2030년에는 각각 4.7GW와 5.3GW에 달하는 신규 풍력설비가 유입돼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낸다.

올해부터 2036년까지 총 32.2GW 규모의 신규 풍력설비 보급이 예정돼 있다. 연평균 2.3GW씩 늘어나는 셈이다. 연도별 신규 목표량에 따르면 정부는 2028년을 전후로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대거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육상풍력 중심으로 성장해온 국내 풍력발전은 대규모 풍력단지 건설을 본격화한지 24년 만에 1.8GW 실적을 거둘 만큼 더딘 속도를 내고 있다”며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풍력 보급목표의 상당 부분이 해상풍력 프로젝트인데 현재 추진 상황으로 볼 때 적기 상업운전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적극적인 개발의지를 갖고 인허가절차를 밟고 있는 해상풍력 사업자들이 조속히 착공에 들어가야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원활한 해상풍력 보급 확대를 위해선 배후항만·설치선·전력계통 등의 인프라 확충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