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미래에너지융합포럼, “기후변화 대응한 에너지 정책 필요”
제3차 미래에너지융합포럼, “기후변화 대응한 에너지 정책 필요”
  • 이재용 기자
  • 승인 2016.09.09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 신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주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려
국회의원, 산학연 전문가들 모여 에너지신산업 미래 발전 방안 모색

▲ 미래에너지융합포럼은 9월 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에너지 신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제3차 미래 에너지 융합포럼’을 개최했다.
미래에너지융합포럼(회장 김태유)은 9월 8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제3차 미래 에너지 융합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태유 회장, 장병완 국민의당 의원(국회 산자위원장),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환익 한전 사장 등 포럼 회원과 국회의원, 에너지 산업 관련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했다.

▲ 김태유 미래에너지융합포럼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태유 회장은 “에너지신산업을 통한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산업 전반에 일대 변혁이 시작되었고, 에너지 산업도 이같은 대변화에 예외가 될 수 없다”며 “전통에너지와 신에너지의 조화와 육성을 통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에너지 산업이 국가 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되도록 구체적인 방안과 정책 제안을 위하여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장병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국민의당)은 “정부가 독점적으로 에너지 정책을 결정하던 시대는 지났다”고 역설하며,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에너지 환경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장기적 비전을 갖춘 근본적인 에너지 정책’이 필요하다” 강조했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올 여름 폭염으로 인한 전력수급에 대해 거론하며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으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며 “변화돼가는 기후에 따른 제도나 체제가 모든 면에서 바꿔야 한다. 대표적인 예가 올해 전기요금이 아니었나 싶다.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부문에서 급속도로 바뀌는 기후체제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에너지 신산업을 견인할 분산발전과 에너지관리 
이 날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전력산업 분야의 新성장동력인 에너지 신산업의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그리고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심층 논의했다.

주제 발표 시간에는 김도원 BCG 서울대표가 ‘에너지 신산업의 글로벌 동향’을, 조영탁 한밭대학교 교수가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 주제발표에 나선 김도원 BCG 서울사무소 대표(왼쪽)와 조영탁 한밭대학교 교수(오른쪽).
김도원 대표는 “전통적 전력기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에너지 신산업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라며, “에너지 신산업은 분산발전과 에너지관리로부터 시작될 것이며, 우리나라 전력산업도 이에 대응하는 장기적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새로운 에너지 신사업에서는 ‘Death Spiral’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해 주목을 받았다.

김 대표는 “미국의 에너지 혁명은 DER로부터 시작되고 있는 모습이며, 에너지 문제해결의 주축이 소비단으로 이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산발전과 통합솔루션, 수요관리를 통해 에너지 공급처와 사용처의 통합 제어 및 최적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DER 중심의 에너지 산업 혁신은 새로운 사업자들을 양성하고 있는데, 일례로 GE Current는 LED를 활용한 다양한 고객의 에너지 관련 데이터 수집을 통해 플랫폼 사업을 추진 중이며, SolarCity는 ESS·Ade·EE 등 통합 DER을 구현 중이며, 머신러닝을 통해서 다양한 조하븨 상황에서 최적 액션으로 최적화를 이루고 있다는 게 김도원 대표의 설명이다.

김도원 대표는 “일본의 후쿠시마 사태는 정부의 유틸리티 정책계획 변화를 촉발시켰다. 공급안정성 확보를 위해 가정용 분산발전 설비를 개발했다”고 설명하며 “한국도 에너지 산업 개혁의 3대 핵심동인 작동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조영탁 한밭대 교수는 에너지 신산업의 잠재력이 발휘되려면 “전통적 체제의 압력 속에서 전통부문과 신산업 간의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시장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저발전 중심의 전통적 체제에서 안전한 저탄소 분산형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산학연·시민단체·정부 관계자들 생태계 구성이 필요
이어진 패널토의에는 이종수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 임원혁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 교수와 홍인관 코캄일렉트로닉스 대표가 참여했다.

▲ 문승일 교수의 진행으로 이어진 패널토의에는 이종수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 임원혁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 교수와 홍인관 코캄일렉트로닉스 대표가 참여했다.
이종수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수급불안, 원전 및 송전망 등 전력시설 수용성, 미세먼지, 누진제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에너지문제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약화되면서 에너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하며, “에너지 신산업도 국민적 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성공은 요원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원혁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등 환경·보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신재생 발전 확대와 함께 소비자 스스로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새로운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전문가들만 참여하던 기존 방식에서 산학연, 시민단체, 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이 생태계를 구성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