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中企 보증펀드 1,000억원 조성
신재생에너지 中企 보증펀드 1,000억원 조성
  • 박윤석 기자
  • 승인 2011.04.12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발전사·금융권 출연
최대 1조6,000억 특별보증 지원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산업 관련 대기업·발전사·금융권이 모여 1,000억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동반성장 보증펀드’를 조성한다.

이 재원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해 한전·발전사·신재생에너지 주요 대기업이 일시 출연방식으로 600억원을, 기업·우리·신한은행이 대출 비율에 따른 캐피탈콜(Capital Call) 방식으로 400억원을 각각 출연할 예정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1,000억원의 보증 재원을 바탕으로 약 1조2,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을 신재생에너지 유망 중소·중견기업에 특별보증방식으로 지원함으로써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글로벌 스타기업 50개 육성에 협조키로 했다.

 

신재생에너지 동반성장 보증펀드 MOU 체결 후 참여기업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소·중견기업 금융애로 해소

지식경제부는 3월 23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최중경 장관, 신재생에너지 분야 대기업·중소·중견기업, 한전·발전회사, 금융기관·유관기관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동반성장 보증펀드 MOU’를 체결했다.

이번에 체결된 신재생에너지 동반성장 보증펀드 MOU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산업계가 앞장선다는 차원에서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포스코파워, SK에너지, GS칼텍스 등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대기업과 한전 및 6개 발전자회사와 금융권 등 총 25개사가 참여했다.

이 펀드는 중소·중견기업의 설비투자 등을 위한 금융애로를 해결하기 위한 펀드로 운영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이 맡게 된다. 운영기관은 기존의 일반 보증상품과 차별화된 보증요율, 보증한도 등 신재생에너지산업 현실에 맞는 특별보증상품을 설계·운용할 계획이다. 현재 일반 보증한도는 시설자금의 경우 최대 100억원, 운전자금의 경우 최대 30억원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제조중심의 유망 중소·중견기업에 지원하게 될 이번 보증펀드의 대상기업 추천은 대기업과 발전자회사, 협회 등이 맡게 된다. 지경부는 5월 초까지 펀드자금 출연기업을 대상으로 출연액을 최종 결정하고, 6월 중으로 세부 운영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최중경 지경부 장관(가운데)이 MOU 체결에 이어 개최된 간담회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금지원, 선택과 집중 필요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MOU 체결에 이어 개최된 간담회에서 녹색성장의 핵심인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중경 장관은 “신재생에너지산업은 현재 연구소와 시장의 거리가 너무 먼 상태인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금융이다”라며 “2015년까지 태양광산업과 풍력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각각 15%씩 달성하는 ‘트리플 15 전략’을 추진해 태양광을 제2의 반도체, 풍력산업을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지택 신재생에너지협회 회장이 간담회에서 해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김쌍수 한전 사장은 “중소·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도 중요하지만 자금을 어느 분야에 사용할 것이냐가 더욱 중요한 시점”이라며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 자금지원의 포커스를 맞춰야 할 것”이라고 선택과 집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동반성장 보증펀드 MOU 및 간담회에 참여한 신재생에너지업계는 선제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야한다고 중지를 모았다.

정지택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회장은 “기술개발과 시장개척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는 많은 중소·중견기업들이 자금난을 호소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식을 통해 자금해소는 물론 동반성장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해외 수출 활성화를 위해선 그 지역에 맞는 기술력 확보가 중요하다”며 “테스트베드 확보와 해외펀드 조성에도 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