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발전, 전력史에 남을 ‘명품 발전소’ 건설

|
설비용량 853MW 최첨단·친환경 복합화력발전소 국내 기술로 제작된 대형 가스터빈
2008년 5월부터 올해 9월까지 약 28개월의 공사기간 동안 총 공사비 6,255억원이 투입된 가운데 준공된 영월천연가스발전소는 설비용량 853MW(GT x 3기, ST x 1기)의 최첨단·친환경 복합화력발전소다. 특히 올해 하계부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발전개시를 당초 계획보다 2개월 앞당김으로써 지난 여름 12억2,112만kWh의 전력을 미리 공급해 하계 전력수급에 큰 보탬이 된 바 있다.
특히 영월발전소 건설사업은 조기 발전개시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의 대용량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주목을 받았다.
복합화력은 가스터빈, 증기터빈, 배열회수보일러(HRSG)로 구성된다. 특히 가스터빈은 초고온, 초고압의 연소가스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 발전기를 돌려

착공 및 철골입주행사
국내 가스터빈 기술자립 기반 구축… 수출 교두보
영월천연가스발전소 준공으로 국내 기술표준인 KEPIC을 적용한 국내 최초의 대용량 가스터

드럼상량
또 영월천연가스발전소는 정부의 녹색성장 및 친환경정책에도 적극 부응해 LNG 사용으로 공해물질의 배출을 줄이고 환경피해 Zero화를 위해 황연저감설비 및 저NOx 버너 등을 도입, 설치했다. 아울러 발전소 구내 및 주변 유휴부지를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건설하기도 했다.
특히 남부발전은 영월천연가스발전소를 전력사에 길이 남을 세계제일의 명품 발전소로 만

수전
발전소가 단순한 전기생산 공장이 아닌 지역의 역사, 자연환경과 어울려지고 항상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향토기업으로써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구 영월화력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전력사료실’을 운영하는 한편, 자연채광을 이용한 탄소 제로화 건물 신축 등 역사와 자연 환경이 어우러진 신개념의 친환경 발전소로 건설했다.
건설 과정에서는 신기술, 신공법도 여럿 적용됐다. 우선 HRSG Harp(Tube Bundle) 인양작업

최초점화
증기세척 공법도 4단계에서 3단계로(GT #1,2,3 발전개시 시차 최소화) 개선됐다. 순수확보량 증대로 증기세척 지속시간을 연장(원수탱크에 순수 저장 활용)하고 Silencer를 최적위치로 선정해 소음설계도 105dBA로 강화했다. 이에 따

상업운전 기념행사
Tip. 사업개요 및 추진 경과
○ 위 치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702
○ 시설용량 : 853MW (GT×3기, ST×1기)
○ 공사기간 : ’08.5~’10.10(30개월)
○ 총사업비 : 6,255억원
○ 참여업체 : 현대엔지니어링(주), 두산중공업(주), 경남기업(주)/(주)한화건설
○ ’06. 11. 29 : 건설기본계획 수립
○ ’07. 1. 25 : 설계기술용역 계약(현대엔지니어링)
○ ’08. 5. 22 : 시공계약(경남기업 +한화건설)
○ ’08. 5. 28 : 착공
○ ’08. 6. 3 : 주기기 구매계약(두산중공업)
○ ’10. 7. 16 : 발전개시
○ ’10. 9. 30 : 상업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