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산업화 정책토론회’ 개최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산업화 정책토론회’ 개최
  • 신선경 기자
  • 승인 2010.09.10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 단품부품산업 수평분업화 추진돼야
풍력, 발전설비 해외의존 과제 해결해야
연료전지, 산업 파급효과 커 시장개발 절실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김진우)은 8월 9일 정책토론회를 마련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성장 패러다임의 산업화 과정에서 산학연정의 문제를 공유하며 이 분야 산업 육성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부품과 소재산업 관련 연구기관, 기업체 및 민간의 상호간 공감대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또 각계의 의견을 참고하면서 정부의 관련 산업화 정책 기틀을 마련하고 육성방안과 수출화 전략도 고민할 것이라고 전했다.

‘녹색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산업화 정책토론회’는 김진우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 강남훈 국장과 신재생에너지과 황수성 과장이 참석해 기조연설 및 기조강연을 했다.

김진우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은 개회사에서 “선진국에 비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 및 가격경쟁력이 미흡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기업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역할 분담을 분명히 할 수 있는 상생전략이 요구되며, 정부는 기업의 원활한 해외진출을 위한 맞춤식 여러 방안들을 마련해 선진국과의 격차 해소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회사 및 기조강연이 끝난 후 각 세션장에서는 태양광과 풍력, 연료전지 분야를 놓고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다양한 주제로 발표하고 토론을 벌였다.

태양광산업은 수직계열화 뿐만 아니라 단품부품의 수평분업화가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풍력산업에서는 각종 규제로 사업 추진이 원활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인허가 규제를 개선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One-Stop Service 시스템 구축 등이 제안됐다.

연료전지산업은 산업간 파급 효과가 커 초기 시장개발과 국내 기업 원천기술 확보가 과제로 지적됐다.

8월 9일 에너지경제연구원 주관으로 코엑스에서 열린 ‘녹색 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산업화 정책토론회’는 태양광과 풍력, 연료전지 분야 부품 소재 산업 활성화 방안을 놓고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해 정책적 필요를 고민하고 각종 해결책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태양광,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의 길 모색해야

‘국내 태양광 부품 소재 부문의 기술 및 산업동향’에 대한 주제 발표에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정문식 연구원은 “기존 셀과 EVA 등 소재 부품 외에 다소 소외되고 있는 케이블이나 커넥터, 부스 바 등 단품 부품 산업 육성이 필요하며 이 분야 수평분업화도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태양광산업의 문제점 및 정책요구사항’을 주제로 한국수출입은행 성동원 책임연구원은 “연 매출규모 1억원 미만 기업 비중이 높지만 주로 시스템 설치 분야”라며 “폴리실리콘 등 밸류 체인상 상위 단계는 연매출 50억원 이상 기업이 많으며 상위 단계일수록 투자규모가 높고 사업진척 속도가 빠르다”고 지적했다.

성 연구원은 이어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외산 장비 의존도가 높아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또 금융 수요에서는 “지금까지 시설자금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며 “향후 금융 정책으로 밸류 체인별로 상이한 사업 단계에 있는 만큼 금융상품도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책상 이런 특성이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풍력 비중 확대… 각종 규제로 인허가 시간 많이 소요

풍력세션 발표자로 나선 김만응 한국선급 에너지환경사업단장은 국내 시스템·부품 업체의 제품 신뢰성 제고를 강조했다. 김 단장은 “사고 부분은 냉정히 판단해야 하며, 특히 해상풍력발전에 있어 신뢰성을 높인 제품은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풍력에너지학회 손충렬 회장은 “2008년 풍력 부품 매출액은 6,560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42.3%로 조선보다 높다”고 발표했다.

현재 풍력산업은 2010년 1월 중국 정부가 설비부품 국산화 규제를 폐지하면서 국내업계의 수출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손 회장은 “우리나라 인허가 절차는 기존 화력발전 절차를 원용해 11개 부처, 12단계를 통과해야 하는 복잡한 단계”라며 “까다로운 풍력산업 인허가 규제를 개선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One-Stop Service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인허가 기간 단축을 산업 발전의 선결 과제로 제시했다.

또 인센티브를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방안도 주장했다.

국내 풍력 부품의 국산화율은 63%, 제작 생산기술은 80% 수준이지만 국내에 설치된 풍력발전설비 수입의존도는 99.6%에 달한다. 해외 의존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풍력산업협회 이임택 회장은 국내 풍력 산업에서 “독자기술 개발 성과 미비와 기업의 안이한 정부 R&D 지원금 사용, 민원 문제 심각성 등이 수출 부진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기업이 사업성을 갖도록 지원정책 보완과 관련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며 “유수 회사와 제휴해 한국에서 풍력발전기 조립 공장을 운영하고 모듈화 단계의 부품기술을 도입해 국산화해야 한다”고 방안을 제시했다.

이 회장은 이어 “국내 대형 조선사들도 풍력발전기 시장진출을 모색하면서 풍력 비중은 향후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료전지, 국내 발전기 수입 의존도 100%

‘연료전지 부품소재 기술 및 산업동향’을 주제로 포스코파워 정기석 팀장은 건물용, 선박용, 발전용 연료전지별 기술 및 산업 동향을 짚었다.

정 팀장은 “소수의 메이저 업체들이 세계 시장 92% 가량을 점유 중”이라며 “현재 한국은 발전기 수요 10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포스코파워는 연료전지 기술 진전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국내 수입 의존 상황을 개선하고 해외 시장을 주도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정책 요구 사항으로는 산업 파급 효과가 큰 연료전지 산업의 특성을 감안해 강력한 초기 시장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또한 수출화 전략으로 해외 M&A를 통한 국내 기업의 원천기술 확보 등도 제안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