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비한 글로벌 씽크탱크 나온다
기후변화 대비한 글로벌 씽크탱크 나온다
  • 최옥 기자
  • 승인 2010.07.09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커스]‘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소(GGGI)’ 창립

국제사회의 녹색기술 개발 거점역할 담당
'동아시아 기후포럼'서 ’12년 국제 공동자산화 선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아시아 각국의 정책, 경험을 교류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동아시아 기후포럼 2010’이 6월 1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500여 명의 국내외 인사가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특히 이날 행사를 통해 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소(GGGI)가 창립함으로써 향후 국제사회의 녹색기술 개발 및 확산을 위한 거점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고됐다.
특히 행사에 참가한 이명박 대통령은 녹색기술 R&D 예산 확대를 비롯해 녹색 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세제 및 금융정책 보완을 약속했다.

 

‘동아시아 기후포럼’은 대통령 주도의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처음 열려 이번에 두 번째 행사가 진행됐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세계 각국이 참여하게 될 GGGI가 창립 선언되면서, 기후변화와 에너지로 대변되는 2차 산업혁명 시대에 GGGI가 새로운 성장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글로벌 씽크탱크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예고됐다.

이에 앞서 6월 15일 열린 GGGI 1차 이사회에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 이사장, 토머스 헬러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 신각수 외교통상부 1차관, 녹색성장기획단 공동단장인 김상협 미래비전비서관 등이 참여한 가운데, 단계적으로 15인 내외의 글로벌 인사로 이사회를 구성할 것과 최고 수준의 국제적 역량을 갖춘 인물 중 연구소 대표(Executive Director)를 채용하기 위해 국제적 공개채용하기로 계획을 확정했다.

▲ 이명박 대통령이 동아시아 기후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소(GGGI)의 창립을 선포했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는 설립주도국으로서 GGGI의 설립·운영을 위해 초기 3년간 매년 약 1,000만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법인으로 설립되는 GGGI는 참여국가 및 기관이 기여한 재정으로 운영되며, 현재 3~4개 국가들이 자금 지원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기후변화 관련 해외 민간조직인 ClimateWorks, Climate Policy Initiative(CPI)는 각각 100만달러씩 지원키로 했으며, 향후 외국 정부 및 해외 재단 등의 자금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개도국에 녹색성장 전략을 제시하는 글로벌 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2012년까지 GGGI를 국제기구화하는 데 노력하고, 2020년까지 단계별 발전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GGGI 이사회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를 의장으로 하고, 이사에는 니콜라스 스턴 英 LSE 교수(공동 부의장), 토마스 헬러 美 스탠포드대 교수(공동 부의장), 신각수 외교통상부 1차관, 김상협 녹색성장기획단 공동단장 겸 청와대 미래비전비서관, 안드레아스 머클 ClimateWorks 재단 글로벌 이니셔티브 디렉터, 그리고 감사에는 허동수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 회장이 선임되면서 국내외 인사 6명으로 최초 이사회가 꾸려졌다.

한편 이날 열린 ‘동아시아 기후포럼 2010’ 행사는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과 GGGI’라는 기조세션을 시작으로 ▲녹색성장-경제·사회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아시아 녹색성장 정책 및 이행사례 ▲녹색성장을 위한 국제협력 등 3개 세션, 마지막으로 유명환 외교장관 주최 GGGI 출범 축하 리셉션 등으로 진행됐다.

에너지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진 아시아 녹색성장 정책 및 이행사례에 대한 소개 중 노부오 타나카 (Nobuo Tanaka)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배출량 감축목표 설정을 위해 마련한 배출량(BAU) 대비 ‘450ppm(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이산화탄소 환산치) 시나리오’를 만족하려면 2030년까지 13.8기가톤을 감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동아시아 기후포럼 2010 행사에서 세션별로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노부오 사무총장은 “개도국의 성장률이 OECD국가의 두 배 이상이기 때문에 전 세계 배출량의 2/3이 개발 도상국에서 감축돼야 달성 가능한 수치”라며 “에너지 감축을 위한 전 세계 투자액의 40% 이상이 아시아 지역에 투입돼야 하며 2030년 까지 4조3000억달러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IEA/NEA 원자력 로드맵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용량을 현재의 400기가와트에서 2050년 1200기가 와트로 대폭 늘려야 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강남훈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은 에너지 자원, 기후변화, 생태계 모두 위기를 겪고 있다며 특히 아태지역의 생태학적 역량(ecological carrying capacity)은 아프리카나 남미보다도 낮은 세계 최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강남훈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한국의 전략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위한 대응체제 구축 ▲청정에너지 비중 제고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을 꼽았다.

강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은 “10년 전 한국이 ‘디지털 뉴딜’을 통해 일어섰듯이 이제 다시 한번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이를 추구해야 할 때이며, 그 도구가 바로 ‘그린 뉴딜’이며, ‘저탄소 녹색성장’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이 생각하고 있는 녹색산업은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부문, CCS(CO₂ 포집․저장)와 같은 화석연료의 청정화 부문, LED, 스마트 그리드 등 에너지효율 향상 부문 등을 포함한다고 덧붙이며, 이러한 녹색산업에 정부는 민/관 협력에 기반한 대규모 R&D 투자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헨리 더웬트 (Henry Derwent) 국제배출권거래협회장은 국내 탄소 가격은 과세형태로 도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해 주목을 받았다.

“탄소가격책정은 경제를 변화시킬 수 있고, 거래를 통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전제한 그는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세금에 대해 반대의견이 있기 때문에 일부 국가들이 탄력적 거래체제 고려하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탄소 가격은 과세형태로 도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대통령 주도의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동아시아 기후포럼’은 향후 아시아지역 녹색성장 정책포럼으로 정례화 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