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더딘 한국 해상풍력… 글로벌 협력으로 돌파구 모색
확대 더딘 한국 해상풍력… 글로벌 협력으로 돌파구 모색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2.10.18 2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독상공회의소,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 개최
공급망 파트너십 강화로 시장 활성화 기반 다져
한독상공회의소는 10월 17일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분야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한독상공회의소는 10월 17일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분야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탄소중립 목표를 향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한독상공회의소가 한국과 독일 양국 간 지속가능한 해상풍력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독상공회의소는 10월 17일 서울 포시즌호텔에서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분야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주한독일대사관과 함께 주최한 이날 행사에는 양국 해상풍력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비즈니스 협업모델 발굴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분야 상생협력으로 양국의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선 양국의 에너지전환 관련 해상풍력 정책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산업계 협업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독일은 2000년 재생에너지법(EEG) 제정을 시작으로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상당량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는 에너지 빈국 여건 속에서 20년 넘게 탈원전·탈석탄 정책을 이어오면서 재생에너지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올해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전 세계가 에너지 공급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해상풍력을 포함하는 과감한 탄소중립 상향 목표를 제시하면서 재생에너지 최강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한국·독일, 상황 비슷한데 정책은 달라
해상풍력은 수천억원에서 수조원의 개발비용이 들어가는 대규모 건설사업 특성상 사업성 확보를 위한 비용절감과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프로젝트 경험과 서플라이 체인을 구성하는 공급망 기업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독일은 2021년 기준 7.8GW 수준의 해상풍력을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재생에너지법 개정을 통해 2030년 30GW에 이어 2035년 40GW, 2045년 70GW로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야심찬 목표란 평가도 있지만 여전히 2030년 12GW 규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정책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국가 에너지정책 방향을 실현 가능한 소극적 목표로 잡기보다 담대한 구상에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에너지전환 의지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산업계에도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

미하엘 라이펜슈툴 주한독일대사는 포럼 인사말을 통해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분야 산업계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미하엘 라이펜슈툴 주한독일대사는 “독일은 비용 효과적인 해상풍력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높이는 동시에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라며 “한국도 탄소중립 달성과 RE100 이행이란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양국 민간기업 간 해상풍력 협력 확대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마틴 헹켈만 한독상공회의소 대표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해상풍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마틴 헹켈만 대표는 “그동안 한국과 독일은 워킹그룹을 통해 ▲에너지전환 ▲녹색에너지 신기술 ▲원전 해체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해 왔다”며 “최근 글로벌 에너지 공급 위기 속에도 에너지전환 가속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 해상풍력과 수소 관련 양국 기업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정책관(국장)은 축사를 통해 해상풍력 강국 독일과의 정보공유가 국내 해상풍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최연우 국장은 “한국은 2020년 해상풍력 발전방안을 마련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여전히 초기단계로 환경·수용성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독일의 해상풍력 개발 경험을 통해 어민 상생과 국내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윤섭 산업부 재생에너지보급과 사무관이 국내 해상풍력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이윤섭 산업부 재생에너지보급과 사무관이 국내 해상풍력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독일, 2030년 재생에너지 80% 목표
포럼 첫 번째 발제에 나선 이윤섭 산업부 재생에너지보급과 사무관은 향후 국내 해상풍력 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이윤섭 사무관은 “2021년 기준 풍력 설치량은 1.7GW 수준에 불과해 21.7GW를 기록한 태양광과 큰 차이를 나타낸다”며 “풍력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복잡한 인허가 ▲주민수용성 ▲높은 발전단가 등에 기인한다”고 국내 풍력현황을 설명했다.

이어 “공공주도로 계획적인 해상풍력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원스톱샵)’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질서 있는 해상풍력 개발을 위해 인근 주민·어민에게 골고루 수익이 배분될 수 있도록 현행 주민참여사업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독일 해상풍력과 수소 관련 정책을 발표한 안톤 후프나글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본부장은 산업적·경제적 측면에서 장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선 한국과 독일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안톤 후프나글 본부장은 “독일은 2021년 기준 41% 수준인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 80%까지 끌어올릴 계획인 가운데 해상풍력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미 2017년부터 보조금을 받지 않는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등장할 만큼 비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해상풍력 2030년 5.7GW 전망… 목표 절반수준
데이비드 욘스 RWE 해상풍력 개발부문 대표는 해상풍력 중심의 친환경에너지 개발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전환에 나서고 있는 자사의 전문성을 소개했다.

데이비드 욘스 대표는 “현재 10GW 수준인 재생에너지 운영설비를 2030년까지 50GW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같은 기간 해상풍력도 3GW에서 8GW 규모로 늘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미래 성장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500억 유로(약 70조원)를 투자할 방침”이라며 “이 가운데 45%인 225억 유로(약 31조원)를 해상풍력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송해순 지멘스가메사리뉴어블에너지 이사는 해상풍력 개발 시 선제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짚어봤다. 지멘스가메사는 전 세계에 19.4GW 규모의 해상풍력터빈을 설치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풍력터빈 제조사다.

송해순 이사는 “해상풍력 개발에 앞서 전용설치선 확보 여부를 비롯해 배후항만 위치·면적 등을 미리 체크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실현 가능한 프로젝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에너지 정보분석기업인 S&P 글로벌 코모디티 인사이츠의 허윤재 이사는 해상풍력 관련 산업 생태계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선 국내 시장이 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윤재 이사는 “자체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2030년 해상풍력 설치량은 정부 목표 12GW의 절반수준인 5.7GW로 전망된다”며 “국내 해상풍력이 가격 경쟁력을 갖춰 시장 활성화로 이어지려면 정부의 세밀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에는 양국 해상풍력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비즈니스 협업모델 발굴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에는 양국 해상풍력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비즈니스 협업모델 발굴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