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ESS 업계, 계통 안정화 역할로 돌파구 마련
벼랑 끝 ESS 업계, 계통 안정화 역할로 돌파구 마련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1.03.10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생에너지·분산에너지 확대 필수요건
정책 불확실성에 사업성 판단 어려워
대한전기협회는 3월 9일 한국전기산업진흥회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와 함께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전력정책포럼을 진행했다.
대한전기협회는 3월 9일 한국전기산업진흥회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와 함께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전력정책포럼을 진행했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수주 급감으로 파산위기에 내몰린 국내 ESS 업계의 정상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전기협회(회장 김종갑)는 3월 9일 서울 송파구 소재 전기회관에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활용방안’을 주제로 전력정책포럼을 진행했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와 함께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산학관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석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잇따른 화재사고와 정부정책 변경에 따라 에너지신사업으로 주목받았던 ESS산업이 주춤한 것에 공감을 표시했다. 무엇보다 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계통 보조서비스를 뒷받침할 ESS 보급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다만 여전히 ESS 화재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충전율 제한 등의 안전조치를 섣불리 해제하는 것은 산업계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간제 지원정책이 일몰제보다 효과적
포럼 발제자로 나선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장은 향후 전 세계 ESS 시장이 전력계통 용도 중심의 보급 확대가 전망되는 만큼 우리나라도 이와 관련된 중장기 정책 로드맵 수립으로 안정적인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학성 회장은 “글로벌 ESS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우드맥킨지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해 배터리용량 기준 전 세계적으로 11GWh 보급된 ESS 시장은 2030년에는 164GWh까지 늘어나 누적설치용량 741GWh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글로벌 시장동향을 설명했다.

이어 “동일기간 PCS와 ESS시스템이 각각 6조원과 60조원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 같은 성장의 60~70%가 전력망 안정화를 뒷받침하는 계통용 시장에서 일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눈여겨볼 대목은 향후 글로벌 ESS 시장 확대를 주도할 미국·중국·호주의 경우 공통적으로 주파수조정·예비력·자체기동 등의 전력계통 보조서비스 강화를 위해 ESS를 활용한다는 점이다.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과 소규모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화를 강화하는 조치로 풀이된다. 해외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이 같은 글로벌 ESS 시장흐름에 맞는 대응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 회장은 우리나라 또한 전 세계 에너지시장 변화에 맞춰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ESS 보급 확대를 통한 전력망 안정화에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린뉴딜을 통한 탄소중립과 RE100 달성을 위해서라도 ESS 활성화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전기요금 특례할인과 REC 가중치 등의 보급정책으로 2017년부터 ESS 설치가 대폭 늘어났지만 2019년 화재사고 이후 충전율 제한 등 운영규정 강화로 시장이 위축됐다”며 “풍력·태양광 연계형 ESS에 주어지던 REC 가중치가 지난해를 끝으로 없어진데 이어 방전한 전력량의 3배를 인정해주던 전기기본요금 할인제도도 올해부터 2026년 3월까지 1배수 할인으로 변경됐다”고 불확실한 지원정책에 우려를 표시했다.

이어 “단기투자 유인책인 일몰제보다는 기간제 지원정책을 펼친다면 투자비 회수가 늦더라도 신규 사업 유치가 가능할 것”이라며 “전기기본요금 할인의 경우 사용전검사를 마치고 상업운전 시작일부터 일정기간 동안 1배수 전기요금 특례를 적용하거나 경부하 전력요금 할인을 일정기간 유지하는 지원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따른 전력품질 저하와 발전제약 리스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확대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장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 강화를 위해 ESS 확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학성 ESS생태계육성통합협의회장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 강화를 위해 ESS 확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전, 발전제약 완화 차원 ESS 1.4GW 설치
토론회 패널로 참석한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은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2034년 풍력·태양광 설비용량 68GW 가운데 50% 이상이 호남지역에 편중될 가능성이 높아 전력망 안정성 확보 방안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이 팀장은 “신규 전력망을 확충하지 못할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제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ESS 활용 시 발전제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태양광 ESS 연계의 충전·방전 패턴이 도매요금 절감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며 “ESS를 전기저장용으로 활용할 때 경제성이 얼마나 있는지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성규 한전 계통연계부장은 ESS를 전력계통에 활용할 경우 구체적인 목적별로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장은 “ESS의 전력계통 활용 목적은 ▲발전제약 완화 ▲간헐성 극복 ▲보조서비스 현실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며 “한전이 2023년까지 1.4GW 규모의 ESS를 설치하는 것은 발전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발전제약 완화로 연간 3,100억원 상당의 제약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