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연구원, 급속충전에도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보장하는 음극 촉매 소재 개발
전기연구원, 급속충전에도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보장하는 음극 촉매 소재 개발
  • 이재용 기자
  • 승인 2021.02.05 1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민 박사팀, 흑연 입자표면에 금속인화물 촉매를 코팅해 급속충전 단점 해결
전기차 및 ESS 분야 활용 기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논문 게재
(왼쪽부터)이상민 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 경희대 박민식 교수, DGIST 이종원 교수.
(왼쪽부터)이상민 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 경희대 박민식 교수, DGIST 이종원 교수.

[일렉트릭파워 이재용 기자] 한국전기연구원(원장 직무대행 부원장 유동욱) 이상민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과 박민식 경희대 교수, 이종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가 주축이 된 연구팀이 급속충전에도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획기적인 ‘음극용 촉매 소재 및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방전하는 원리다. 충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선 리튬이온이 빠르게 이동해야 하는데, 흑연은 이 과정에서 결정 구조의 변화가 작다는 장점으로, 전극 내에서 지속적이면서도 반복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급속충전 시에는 흑연 음극 표면에 리튬 금속이 석출(deposition, 고체 표면 주위에 어떤 물질이 부착·응집하는 것)돼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연구원 성과는 이런 흑연 음극의 단점을 해결해주는 ‘금속인화물 촉매 코팅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촉매 소재가 다양한 연구 과정에서 석유화학 공정의 탈질·탈황 반응에 유용하게 쓰이는 것을 파악하고, 배터리 급속충전 시 전하 전달 반응에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작동될 것으로 기대하며 지속적인 응용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촉매 소재가 배터리 전해액 내 리튬이온의 탈용매화 반응을 돕고, 전하 전달 반응을 촉진시켜 급속충전 시에도 배터리 수명이나 안전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번 성과를 통해 전기차 대중화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였던 급속충전 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특히 해당 기술이 국내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에게 이전될 경우, 그동안 일본과 중국 등으로부터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고품질의 ‘인조흑연 음극재’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고온에서 결정성을 높여 제조하는 인조흑연 음극재는 원료와 공정 특성으로 인해 천연흑연 제품 대비 내부 구조가 균일하다. 이로 인해 수명이 길고, 급속충전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약 2배 더 높다.

이상민 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은 “급속충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 방식을 변경한다든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배터리 전극 밀도를 낮추려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고에너지 밀도 유지와 급속충전 성능 개선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소재 기술은 전무한 상황이었다”고 밝히며 “전기연구원이 개발한 촉매 소재 및 코팅 기술은 배터리 내 리튬 석출의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발열 위험을 낮춰주기 때문에, 급속충전 시에도 성능과 안전성을 모두 보장해줄 수 있다”고 전했다.

전기연구원 성과는 높은 기술 수준을 인정받아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개발 기술과 관련한 국내외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해당 기술이 전기차 및 전력저장장치(ESS) 산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 보고, 관련 수요업체를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