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00MW 넘게 착공한다던 풍력 실적 살펴보니
올해 600MW 넘게 착공한다던 풍력 실적 살펴보니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0.09.21 0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건 73MW 규모 불과… 연말까지 추가 착공 미지수
REC 고정가격계약 지연… LCOE 가이드라인 온도차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올해 600MW 이상의 풍력단지가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내다봤던 정부 예측이 크게 빗나갈 것으로 보인다. 예상보다 착공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인허가 지연과 민원이 꼽히지만 올해 경우 발전공기업과 체결하는 REC 고정가격계약 지연이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올해 연초 발표된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에 따르면 총 2.5GW 규모의 재생에너지설비가 신규 건설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7월말 이 같은 목표치를 이미 넘긴 가운데 태양광의 경우 역대 최대 보급실적을 기록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반면 태양광과 함께 그린뉴딜의 한축인 풍력은 목표했던 준공·착공실적 모두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계획한 준공실적은 그나마 목표치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착공실적은 상황에 따라 10%대 달성에 그칠 수 있다.

착공실적은 향후 단기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란 점에서 준공실적 못 지 않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프로젝트 규모와 현지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육상풍력 기준 1~2년의 건설기간이 소요되는 점에 비춰봤을 때 현재 상태라면 내년도 준공실적은 140MW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준공실적 180MW 수준 전망
정부가 올해 준공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던 풍력사업은 ▲서남권해상풍력 실증단지(60MW) ▲귀네미풍력(19MW) ▲노래산풍력(19MW) ▲수망풍력(25.2MW) 등 9개 프로젝트에 걸쳐 총 220MW 규모였다. 이 가운데 한국에너지공단의 RPS설비확인까지 마친 프로젝트는 124MW 규모다.

여기에 화산풍력(11.55MW)과 가덕산풍력(43.2MW) 정도가 올해 준공실적에 더 반영될 것으로 보여 총 180MW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는 목표치의 80%를 조금 넘긴 것으로 지난해 신규 보급실적보다 10MW 가량 줄어든 수치다. 에너지공단 통계자료에 올해 전망실적을 더하면 국내 총 풍력설비는 1,670MW를 기록하게 된다.

지난해 기준 풍력·태양광을 합친 누적 설비용량 1만3,262MW 가운데 태양광 비중이 88%를 넘었던 만큼 올해 두 에너지원의 설비용량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풍력과 태양광의 설비용량 격차는 결국 REC 발급량 차이로 이어지게 된다.

RPS제도가 도입된 2012년 전체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풍력과 태양광의 REC 발급 비율은 각각 3.8%와 5.6%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후 태양광은 매년 설비용량이 대폭 늘어나면서 지난해 기준 전체 REC 발급량의 절반에 가까운 44.8%를 차지했다. 반면 풍력은 같은 기간 6.6%로 제자리 수준이다. 정부의 태양광 보급 계획이 2배 가량 많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풍력 성장세가 뚜렷하게 더딘 것을 알 수 있다.

발전공기업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이 풍력 LCOE 산정을 통해 도출한 REC 가격과 고정가격단가를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사업자와 고정가격계약을 협의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이 풍력 LCOE 산정을 통해 도출한 REC 가격과 고정가격단가를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사업자와 고정가격계약을 협의하고 있다.

풍력 REC 가중치 현실화… 태양광 대비 공급비용 높아
정부가 올해 착공 가능할 것으로 파악한 풍력사업은 한림해상풍력을 포함해 15개 프로젝트에 걸쳐 총 640MW 규모에 달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착공에 들어간 풍력단지는 원동풍력(36MW)과 자은주민풍력(37.8MW) 2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를 제외하고 올해 연말까지 착공할 예정이라는 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실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공사를 피하고 있어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풍력업계는 정부 예상보다 착공실적이 저조한 이유를 인허가 지연과 주민수용성 때문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지연요인 이외에 올해부터 새롭게 작용하고 있는 발전공기업발 변수다. 통상 PF 조성을 위해 착공에 앞서 발전공기업과 REC 고정가격계약을 체결하는데 최근 적정 가격을 놓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해 지연되는 사업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업자와 발전공기업 간 고정가격계약 체결 지연은 이미 올해 연초 예견된 상황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6개 발전공기업 의뢰로 풍력·태양광의 공급비용을 전망한 연구용역보고서를 내놨기 때문이다. 올해 초 착공에 들어간 2개 프로젝트의 경우 해당 보고서가 나오기 이전에 추진된 것이라 이번 REC 고정가격계약 이슈 이후 올해 착공한 풍력사업은 사실상 없는 셈이다.

발전공기업은 사업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경제성 분석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이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세부내용을 들여다보면 결국 SMP+REC 합산 고정가격단가를 낮추려는 의도가 여러 곳에서 읽힌다.

보고서는 대표적인 경제성평가 지표인 균등화발전비용(LCOE) 산정을 통해 적정 REC 가격을 추정한 후 고정가격단가를 도출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핵심 내용은 ‘내부수익률 5.01% 보장 기준 육상풍력 SMP+REC 합산 고정가격 kWh당 ▲175.5원(국산 풍력터빈 적용 시) ▲164.8원(외산 풍력터빈 적용 시)’으로 요약된다.

발전공기업은 올해부터 이 같은 내용을 가이드라인삼아 사업자에게 REC 고정가격계약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개정된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시장운영에 관한 규칙에 따라 출자하는 신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한 비용적정성을 전력거래소 실무위원회를 통해 미리 검토 받도록 돼 있어 REC 가격 협의를 빡빡하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발전공기업의 출자사업 검토 절차에는 전력거래소에서 살피는 사업성검토 이외에 에너지공단이 검토하는 국내산업 기여도 항목까지 포함돼 있어 사업자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국산 기자재 확대를 유도하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그만큼 기자재 선택의 폭이 줄어들어 사업성을 맞추기가 더욱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풍력업계 관계자는 “발전공기업이 REC 가격 가이드라인으로 삼고 있는 이번 연구보고서도 풍력과 태양광의 공급비용 차이를 인정하고 태양광 REC 가격을 kWh당 15.2원 낮게 제시하고 있다”며 “국책연구기관에서 내놓은 결과인 만큼 입맛에 맞는 내용만 따를 게 아니라 풍력이 태양광과 동등한 입장에서 커갈 수 있도록 적절한 REC 가중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현재 태양광에만 적용하고 있는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도를 풍력으로 확대해 시장원리에 따라 REC 가격이 결정될 수 있는 수요·공급 매커니즘을 만들어야 한다”며 “그린뉴딜을 통해 풍력산업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적으로 기업들이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