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개발 절반만 실행 옮겨도 목표치 접근 가능
풍력개발 절반만 실행 옮겨도 목표치 접근 가능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0.08.25 08: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예정 해상풍력 23GW… 발전사업허가 3.5GW 받아
육상풍력 9.5GW 이상 이미 발전사업허가 취득 완료
국내 풍력단지 개발 현황
국내 풍력단지 개발 현황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최근 그린뉴딜 정책에 따른 기대감으로 풍력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향후 국내 풍력시장 확대 가능성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국내 풍력설비 보급량은 최근 발표된 해상풍력 발전 방안에도 나와 있듯이 2017년 수립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2030년까지 ▲해상풍력 12GW ▲육상풍력 4.5GW로 총 16.5GW의 신규 풍력설비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3020 이행계획 발표 당시 1.1GW 수준이던 국내 풍력설비는 현재 1.58GW 규모로 늘었다. 3년 남짓 동안 신규 설치량이 500MW 정도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향후 10년간 16GW를 보급해야 목표량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이다. 매년 1.6GW의 풍력설비를 새로 설치해야 달성할 수 있는 목표다.

1998년 제주 행원풍력을 시작으로 대규모 풍력단지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18년 만인 2016년 말 풍력발전 1GW 시대를 열었을 만큼 국내 풍력시장은 더딘 성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전환의 필요성이 정책 핵심과제로 부각되면서 이전과 다른 시장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과거 구색 맞추기식 에너지원에서 이제는 국가 에너지계획의 중심에 설 만큼 역할도 커졌다.

모든 정책과제가 그렇듯 준비했던 계획이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를 만나 목표치가 크게 달라지곤 한다. 이 같은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제도 개선이나 지원책 등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정부는 해상풍력 발전 방안을 통해 지자체와 함께 해상풍력 입지발굴부터 인허가과정까지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나타내 풍력시장 활성화 기대감을 높였다. 여기에는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개발 지원 ▲주민수용성 가이드라인 마련 ▲공유수면점사용료 합리화 ▲REC 가중치 개편 ▲REC 가중치 예비통보 ▲인허가 통합기구 설치 법제화 등 시장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됐다.

전남 신안 중심 해상풍력 개발 줄이어
현재 국내에 건설된 풍력단지는 총 1,581MW 규모다. 이 가운데 상업운전 중인 해상풍력단지는 ▲탐라(30MW) ▲서남권 실증단지(60MW) ▲영광 일부(34.5MW) 등 3곳이 전부다.

한국풍력산업협회가 발전사업허가 현황과 지자체·사업자의 해상풍력 개발계획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건설예정인 해상풍력단지는 총 23GW 규모에 달한다. 정부가 2030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목표량의 2배 가까운 수치다.

올해 7월까지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풍력사업 가운데 해상풍력으로 개발되는 프로젝트는 26건으로 3,558MW 규모다. 이 가운데 70%에 달하는 2,524MW가 전남지역에서 추진 중이다.

전남지역은 ▲신안우이(396MW) ▲낙월(354MW) ▲안마2(304MW) ▲전남신안(300MW) 등 대규모 사업이 몰려있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풍황계측기가 설치되고 있어 향후 국내 최대 해상풍력 개발구역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2029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총 8.2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신안지역에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우 바 있다. 이미 한전이 최대주주로 참여하는 1.5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시동을 건 상태다. 이외에 다수의 민간사업자들이 신안지역 일대에 풍황계측기를 설치했거나 준비 중이라 2021~2022년 사이 다수의 발전사업허가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남 진도와 여수지역에서도 계측기 설치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풍황데이터를 확보하는 시점인 2021년을 전후해 해상풍력 발전사업허가가 줄을 이을 전망이다.

부유식해상풍력 7GW 추진 중
제주지역에서는 ▲한림(100MW) ▲대정(100MW) ▲한동·평대(105MW) ▲월정·행원(125MW) ▲표선·하천·세화2(135MW) 등 총 565MW 규모의 해상풍력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 가운데 한림해상풍력은 최근 개발사업 시행 승인을 받아 언제든지 착공에 들어갈 수 있는 상태다. EPC 업체 선정을 다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착공이 다소 지연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내부망을 포함한 연계거리 계산에 따른 예상 REC 가중치는 2.42 수준이다.

기술 경쟁력을 키워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한 부유식해상풍력은 7GW 규모로 추진 중이다. 울산지역에 1·2단계로 나눠 총 6GW가 건설되고, 전남지역에 각각 500MW씩 총 1GW의 부유식해상풍력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풍황계측기 설치작업을 마치고 데이터 수집에 들어간 사이트도 있다.

이외에도 ▲태안 1.6GW ▲군산 1.5GW ▲부안 1GW ▲인천 0.6GW 등 서해권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 가운데 실제 어느 정도가 개발로 이어지느냐에 따라 3020 이행계획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육상풍력의 경우 최근까지 발전사업허가를 취득하고 추진 중인 풍력사업이 총 9.5GW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40MW 이상 대규모 프로젝트는 7GW가 넘는다. 발전사업허가를 받아놓고 이런저런 이유로 착공을 못 하고 있는 이들 사업 가운데 절반만 추진해도 정부의 육상풍력 목표량을 채울 수 있는 셈이다.

물론 이들 프로젝트 가운데는 풍력개발보다 사업권 이전을 통한 수익 챙기기에 방점을 둔 사업도 다수 존재한다. 개발 가능한 사이트가 정해져 있는 만큼 발전사업허가 기준 정비를 통해 건전한 개발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풍력업계 관계자는 “풍력시장 기대감이 그 어느 때 보다 큰 것은 맞지만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계통·경제성·기술력 등 풍력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주민수용성·인허가·REC 등 풍력업계 주요 이슈와 관련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자세를 취해야 속도감 있는 풍력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