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에게 듣는다] “우리만의 색 찾아야… 신재생 크리에이터로 거듭날 것”
[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에게 듣는다] “우리만의 색 찾아야… 신재생 크리에이터로 거듭날 것”
  • 박윤석 기자
  • 승인 2020.05.06 05:35
  • 댓글 1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연료전지 중심 신사업 확대… 재무안정성 향상 기대
마곡열병합발전 2021년 가을 착공… 주민 대화 최우선으로
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
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에 방점을 두고 서울시 에너지자립 기반구축의 첨병 역할을 맡고 있는 서울에너지공사가 설립 4년차를 맞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집단에너지시설인 목동열병합발전소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업무이력을 감안하면 40년 가까이 안정적인 열공급을 책임진 업계 리더다.

서울시 산하 지방공기업인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시 에너지정책을 뒷받침하는 에너지전담 조직으로서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다. 과거 집단에너지 공급에 집중된 사업영역을 공사 설립이후 ▲신재생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분야로 넓혔다. 이후 2대 신임 사장을 맞으면서 또 한 차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 3월 취임한 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은 공기업 특성상 경직되고 보수적일 수 있는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과감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진다.

40년 넘게 전력분야 건설·운전·정비 등에서 활동한 그는 그동안 쌓은 경험과 지식을 임직원들과 공유해 조직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각오다.

김중식 사장은 기존 집단에너지사업을 기반에 두고 신재생에너지 크리에이터로 거듭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서울에너지공사하면 떠올릴 수 있는 자기만의 이미지를 만들겠다는 의미다.

그의 이 같은 생각은 친환경에너지로 서울시 에너지자립을 이끈다는 서울에너지공사 설립목적과 방향성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속도감 있는 이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규모 발전설비가 아닌 태양광·연료전지 등 수요처 인근에 건설할 수 있는 분산형전원을 중심으로 사업 보폭을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물론 이 같은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재해 있다. 우선 현재 재무상태로는 투자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는 게 시급하다. 서울에너지공사의 최대 현안인 마곡열병합발전 건설에 더욱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신재생 하면 ‘서울에너지공사’
“오랜 기간 지역주민의 안정적인 열공급을 위해 집단에너지사업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서울에너지공사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렇다보니 우리가 무슨 일을 하고,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 우리만의 캐릭터가 필요한 시점이다.”

김중식 사장은 인터뷰 중간 중간 서울에너지공사가 신재생에너지 크리에이터로 거듭나야만 하는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김 사장이 말하는 신재생에너지 크리에이터란 기존 대형 발전사업자와 차별화를 둘 수 있는 특화된 조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사업자가 정보를 얻기 위해 이곳저곳 다닐 필요 없이 바로 서울에너지공사를 떠올릴 수 있도록 업무역량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김 사장은 “신재생에너지 크리에이터로 인정받으려면 최소 500MW 정도의 신재생사업 개발·운영 실적을 쌓아야 할 것으로 본다”며 “대규모 개발사업 발굴이 가능한 지방으로 활동범위를 넓히려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선은 태양광·풍력·연료전지·수력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며 “공사 연구조직인 에너지연구소를 기반으로 에너지분야 국가정책과 서울시정책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면 우리만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략을 세우는 게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신재생 체계적 확대 필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2012년 도입한 RPS제도에 따라 발전량의 일정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하는 발전사는 22개사에 달한다. 이들 공급의무사는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운영하는 곳으로 대규모 원전과 화력발전을 가동하는 기업이다. 특히 공급의무량의 80% 이상을 6개 발전공기업이 채우고 있다. 국가정책에 따라 신재생설비 확충에 나서고 있지만 본업이 대규모 발전사업인 만큼 신재생에너지 분야 관심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김 사장은 “이 같은 대형 발전회사와 비교해 서울에너지공사는 역할과 기능이 다르다”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은 발전공기업을 포함한 민간발전사업자들이 담당하고, 일정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서울에너지공사가 수행한다면 보다 체계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에너지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목동·노원지역 집단에너지시설 대부분은 노후화된 상태다. 이렇다보니 유지보수도 힘들지만 재무건전성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속적인 적자 흐름을 끊기 위해선 수익구조를 개선할 모멘텀이 필요하다.

서울에너지공사는 2017~2018년 연속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적자에도 불구하고 재무건전성 지표 가운데 하나인 부채비율은 양호한 편이다.

행정안전부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국 지방공사 평균 부채비율은 87.5%로 나타났다. 서울에너지공사는 평균보다 낮은 56.1%의 부채비율을 보였다. 정부가 인정하는 공기업 부채비율 상한이 200%인 점을 감안하면 1/4 수준에 불과하다.

김 사장은 “부채비율은 낮지만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며 “신재생에너지 크리에이터로서 사업영역을 넓힌다면 장기적인 측면에서 재무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가스·열·전기요금체계 왜곡 심화
김중식 사장은 현재 서울에너지공사가 풀어야 할 당면 과제로 ▲재무구조 개선 ▲마곡열병합발전 안정적 수행 ▲정체성 확립 등 세 가지를 꼽았다.

김 사장은 취임 전 서울시의회 인사청문회 당시 재무건전성 확보를 언급한 바 있다. 취임사에서도 집단에너지사업을 기반으로 한 신규 사업 확장을 통해 경영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만큼 공사의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뜻이다.

김 사장은 “대부분의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며 “유독 서울에너지공사가 민간 사업자보다 적자 폭이 큰 이유는 공공성을 우선시하는 책임의식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익과 직결되는 기업성이 30%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나머지 70% 정도가 공공성에 맞춰져 있다”며 “지방공기업으로서 지역주민의 복지를 챙기는 것은 기본적인 책무이기 때문에 공공성을 유지하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에너지공사를 포함해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이 적자경영에 처한 이유는 생산원가에도 못 미치는 전기·열요금체계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스요금체계마저 왜곡돼 있어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김 사장은 “지금의 적자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확실한 방법은 가스요금을 현실화하는 것”이라며 “이와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니태양광 100만 가구로 원전 1기 대체
적자에서 벗어나려면 마이너스를 메울 수익이 있어야 한다. 다만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한 신사업 구상은 사업별로 자금·기술·인력 등의 투입 요소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에 따라 계획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김 사장의 설명이다.

서울에너지공사는 태양광·수요자원시장(DR) 등의 신규 사업을 통한 수익구조 다변화를 계획하고 있다.

태양광의 경우 이미 베란다·주택형 등 미니태양광사업을 서울시 대행사업으로 운영 중이다. 지난 3월 관련 업무를 지원할 통합운영센터를 열고 미니태양광 보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강변북로를 따라 태양광설비를 설치하는 사업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2018년부터 사업부지별 타당성조사를 통해 총 1.2km에 걸쳐 설치·운영 중이다. 자본회수기간이 11년으로 길고, 운영기간이 너무 짧아 정확한 경제성을 파악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서울에 한정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지역적 한계를 넘어 대규모 신재생설비 건설이 가능한 지방으로 활동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김 사장은 “현재 협업부서에서 김제·신안 등 지자체와 100MW급 태양광단지를 건설하는 사업을 협의하고 있다”며 “주민 수용성이 중요한 만큼 주민참여형 사업으로 진행해 이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미니태양광사업으로 확보한 25만 가구의 인프라를 DR시장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미니태양광 보급 목표에 따라 2022년이 되면 지금의 4배인 100만 가구까지 늘어나게 된다.

김 사장은 “잠재적 수요자들에게 태양광의 효용성과 가치를 알려 DR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우리 공사의 역할이라 생각한다”며 “가구당 1kW의 수요자원을 확보할 경우 100만 가구를 통해 원전 1기를 건설하는 효과를 갖는 셈”이라며 긍정적인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이미 수요관리사업자로 등록돼 7.7MW 규모의 수요자원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강서지역 열공급 차질 우려
서울에너지공사의 중점 사업인 마곡열병합발전 건설이 주민 수용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정된 건설공기가 늦어질 경우 강서지역의 포화연도인 2031년 열공급 부족현상이 현실화될 수 있다. 이에 서울에너지공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민의견 수렴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지역주민 20명으로 구성된 주민소통참여단을 위촉했다. 참여단에는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지역주민 4명도 포함됐다.

김 사장은 “국가기반시설에 해당하는 발전소가 언제부턴가 혐오시설로 비춰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지역주민은 협치의 대상이지 반목과 대결의 관계가 아니다”고 주민과의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이어 “이유야 어쨌든 지역주민의 반대의사 표시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점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올해 연말 마곡열병합발전의 환경영향평가와 주민설명회를 마무리하는 일정으로 시간표를 맞춰 놨다. 늦어도 2021년 가을에는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부천열병합발전에서 수열하고 있는 최대 공급량 130Gcal/h를 감안하더라도 향후 마곡지구 개발과 난방수요 급증으로 2024년부터 약 4만 세대(197Gcal/h)에 열공급을 하지 못 할 수 있다는 게 서울에너지공사 측 분석이다.

김 사장은 “지금의 상황을 정상적으로 보려 하지 않고 정쟁도구로 활용하거나 주민을 호도하는 잘못된 정보가 퍼져나가고 있다”며 “확인되지 않거나 엉뚱한 사실을 전달하는 왜곡된 뉴스에 대해선 정확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꺼져 2020-05-12 15:25:47
열필요한곳에 설치하는것은 초딩도 압니다 김사장님.
현재 위치는 열과는 전혀 상관 없습니다.
열병합 수요처에 설치하세요.

나대자 2020-05-12 14:47:23
열병합발전소라는게 사람이 안사는 곳에 먼저 세워져야 하는걸 아시면서 무슨 멍멍이가 풀뜻는 소리입니까?
신도시에 세우라구요 여기가 신도시입니까?
직원들 교육이나 제대로 시키세요
남의 아파트에 무단으로 침입해서 주민들을 현혹하고 말도 안되는 공문으로 주민을 협박하고 당신들이 하는짓이 이거밖에 안됩니까? 이렇게 밖에 할줄 모릅니까?
양아치도 하지 않을짓을 하는 집단입니까?

배진현 2020-05-12 14:09:24
지금 하수철장 시설에서 올라오는 악취며 분뇨처리장도 그리고 건폐장 혐오시설 때거지로 있는데 그것도 모자라 열병합입니까 댁네 집 앞이라면 결사 반대하죠?

김미숙 2020-05-12 14:11:21
현재의 환경이 서울시에서 꼴찌인데 열병합 적합이라고 환경영향평가 하면 그 자료는 조작입니다 ~~ 처음 적합나온 신도심에 설치하시요

마곡원주민 2020-05-12 14:15:01
환경평가받은 곳에 설치하시오 구도시는 열병합발전소 관련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