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수급 불확실성 동북아 협력으로 해소
에너지수급 불확실성 동북아 협력으로 해소
  • 박윤석 기자
  • 승인 2019.09.18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자협력체제 구축 필요… 에너지 효율적 배분
전기협회, ‘2019 Future E Forum’ 개최
김연규 한양대 교수는 에너지수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동북아 국가 간 다자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연규 한양대 교수는 에너지수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동북아 국가 간 다자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원유·가스 등 에너지수급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국가별 다양한 전략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에너지수급 안정화 측면에서 동북아 에너지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연규 한양대 교수는 9월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19 Future E Forum’에서 ‘국제정치학 관점에서 본 동북아 협력의 중요성’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서 동북아 국가 간 에너지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포럼은 대한전기협회와 여시재·이훈 국회의원실이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를 포함한 국내 전력산업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다.

김연규 교수는 “과거 20세기는 미국에 의한 글로벌 자유무역과 에너지 공급에 의존했던 시대”라며 “21세기로 넘어와 보호무역주의 확대와 에너지수급 불안정, 고령화 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고 국제사회 정세변화를 설명했다.

이어 “보호무역이 대두되면서 미국 수출시장에 제약이 발생하는 동시에 원자재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일본 경제에 발간불이 켜졌다”며 “중국 바닷길 대부분은 미국 우방 세력에 둘러싸여 있어 중국이 글로벌 무역을 주도하기엔 다양한 제약조건이 따른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인접지역 국가 간 협력을 통한 에너지·인프라 등 자원의 효율적 배분으로 전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큼 동북아 국가들도 다자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김 교수는 “동북아는 에너지자원의 매장분포와 각국의 에너지수급구조 차이를 감안할 때 에너지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EC)와 같은 국가 간 협의기구를 적극 고려해볼 만하다”고 밝혔다.

또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관련해 국가 간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지금까지 에너지 분야에서 정부 간 정례 양자회의만 있었을 뿐 다자회의는 없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대부분의 천연가스를 중동과 동남아 LNG로 수입하는 상황인데 러시아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PNG 형태로 들여온다면 에너지수급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9 Future E Forum’에 참석한 전력계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9 Future E Forum’에 참석한 전력계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로 전력수요 증가… 배터리시장 성장
손지우 SK증권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구축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인해 배터리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손지우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ICT기술이 발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데이터센터는 상당량의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이 상당히 많다”고 향후 전력수요 증가요인을 설명했다.

이어 “기술개발로 에너지효율이 높은 설비들이 보급되면 전력수요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란 의견도 있지만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라며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전력수요 증가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발전소 건설 또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글로벌 에너지시장 변화로 인해 신규 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는 ESS가 급성장할 것이란 게 손 위원의 분석이다.

손 위원은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의 낮은 에너지밀도와 안정성을 극복한 전고체배터리(Solid-state battery)가 개발되면서 배터리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전고체배터리를 개발한 도요타는 2020년부터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국내에선 ESS를 주파수조정과 풍력·태양광 연계에 주로 활용하고 있지만 기존 발전소와의 연계도 충분히 가능하다”며 “배터리시장 변화에 대비한 국내 기업들의 전략변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