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미래 한반도 100% 재생에너지 전환의 꿈
[전문가칼럼] 미래 한반도 100% 재생에너지 전환의 꿈
  • EPJ
  • 승인 2018.09.10 0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손충렬 세계풍력에너지협회 부회장
손충렬 세계풍력에너지협회 부회장

[일렉트릭파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한 목소리로 환경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도 이미 에너지전환은 진행되고 있었다.

우리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면, 유럽의 독일은 2030년까지 전력생산의 65%를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에너지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화석연료를 대신해 풍력과 태양광 등 친환경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믹스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원자력이 갖고 있는 에너지 특성상 안전하게 다루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은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3020 이행계획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가운데 풍력은 16.5GW 규모의 신규 설비가 설치돼야 한다. 수치만 놓고 보면 일단 고무적인 일이다. 역대 정권에서도 빠지지 않고 녹색과 그린 등의 정책을 내세웠지만 풍력은 이제 겨우 1.2GW 수준에 머물러 있다.

육상풍력은 지금도 환경부의 생태계보호란 명목아래 개발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얼마 남지 않은 국내 풍력터빈 제조업체들의 풍력사업 희망도 점차 걱정으로 바뀌어 가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다.

오래전부터 풍력 활성화에 나선 선진국들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친환경에너지의 사회적 편익을 경험한 바 있다. 환경과의 조화도 그중 하나다. 무조건 보호부터 하고 보자는 우리와 접근방법이 달랐던 것이다.

규제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환경부의 속사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앞에서는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협력하겠다고 말하고선 은근슬쩍 온갖 규제로 꽁꽁 묶어 놓는 것은 너무 이율배반적이란 생각이 든다. 부처 간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는 사이 국내 풍력산업과 지역기반 산업체는 서서히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고용창출이나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상생계획을 꺼내는 게 민망할 정도다. 정부가 주민 수용성 확대를 통해 풍력단지 개발의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지만 일부 지자체장들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생각만 하고 있어 씁쓸한 따름이다. 어떤 방식이 됐던 지역주민이 프로젝트 개발에 참여하는 것은 사업자와 주민 모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해상풍력은 위기에 처한 조선기자재업체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춘 이들이 기초하부구조물 제작과 조립 등의 업무를 맡는다면 또 다른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독일의 에너지연구기관인 에너지워치그룹(EWG)이 구상하고 있는 한반도 100% 재생에너지전환계획안을 살펴보면 한반도의 태양광 잠재량은 약 960GW, 풍력은 약 72GW 규모다.

평화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전환이 이뤄진다면 우리는 일석이조의 미래를 맞을 것이다. 비핵화를 일궈낸 한반도가 중국·일본·러시아·미국의 중심에서 균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시작으로 미래 한반도가 100% 재생에너지로 채워지는 날을 꿈꿔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