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풍력산업 심포지엄 성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이끌어야”
2018 풍력산업 심포지엄 성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이끌어야”
  • 배상훈 기자
  • 승인 2018.06.25 1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풍력업계가 나아갈 방향 모색
한국-노르웨이 간 B2B 미팅 실시
▲ 6월 22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2018 풍력산업 심포지엄 전경

[일렉트릭파워 배상훈 기자]파리 기후변화협약 이후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2030년까지 전체 전력생산량 대비 신재생에너지를 20%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3020 이행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육상풍력 4.5GW, 해상풍력 12GW 등 총 16.5GW의 신규 풍력발전단지를 보급할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외 해상풍력 현황과 기술, 그리고 새로 시행될 정부정책 및 제도를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해상풍력을 포함한 해양플랜트 산업에 경험이 있는 노르웨이 선진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풍력업계가 나아갈 방향도 함께 모색했다.

▲ 손영기 한국풍력산업협회장

한국풍력산업협회(회장 손영기)는 주한노르웨이대사관 상무관실·전력문화사 윈드파워저널(회장 고인석)과 공동으로 ‘2018 Global Wind Day(세계 풍력의 날) 풍력산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올해 8회째인 이번 행사는 6월 22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렸다. 해를 거듭할수록 우리나라 풍력산업 현주소를 짚어보는 동시에 풍력인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의 폭을 넓히는 창구로 거듭나고 있다.

손영기 풍력산업협회장을 비롯해 주한노르웨이대사관 프로드 솔베르그(Frode Solberg) 대사지명자, 주한노르웨이대사관 상무관실 야닉게 윗슨(Jannicke Witso) 1등 서기관, 고인석 윈드파워저널 회장, 김현철 산업부 신재생에너지정책단 국장, 이봉순 한국해상풍력 사장, 이재익 포스코 전문연구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풍력산업 심포지엄과 함께 Mary Room에선 한국-노르웨이 간 B2B 미팅이 열렸다. 이곳에서 국내 기업과 노르웨이 전문가가 만나 해상풍력 관련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

▲ 호민 기우봉 풍력상 시상 후 김장수 동성 회장(왼쪽), 경남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문연구위원(오른쪽)이 손영기 회장(가운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우봉 풍력상 통해 노고 격려
이번 심포지엄에선 국내 풍력산업의 발전 및 확산에 기여한 단체 또는 개인을 격려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올해 호민 기우봉 풍력상은 김장수 동성 회장과 경남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이 수상했다.

호민 기우봉 풍력상은 2008년 호민 기우봉 박사 타계시 아름다운재단에 유산을 기부하면서 만들어진 호민기금에서 비롯됐다.

손영기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해 말 발표한 정부 로드맵 달성에 초석을 다지기 위한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다”며 “우리 산업계는 올 한해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법률적·제도적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업계·학계 등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풍력산업협회는 발생 가능한 혼란과 문제를 최소화 해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현장에 원활히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인석 윈드파워저널 회장도 “정부는 최근 REC 가중치와 발전사업허가 기준을 산업계 현실에 맞게 손을 보면서 해상풍력 사업성과 이행력을 높이는 기반을 다졌다”고 밝혔다.

또한 “지자체가 주도하고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계획입지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주민수용성 문제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현철 산업부 국장은 “세계가 인정하듯이 우리나라 풍력산업은 이미 우수한 기술력과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며 “정부도 국내 풍력에너지 보급·확산과 규제개선 노력을 통해 업계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Mary Room에서 진행된 B2B 미팅 모습

“2030년까지 4조달러 투자될 것”
맥쿼리캐피탈 아시아 존 잭맨(John Jackman) 전무는 국제 해상풍력 시장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존 잭맨 전무는 “재생에너지 용량에 대한 투자는 지난 5년간 화석연료 용량에 대한 투자를 초과했다”며 “2030년까지 재생 가능한 발전에 4조달러가 투자될 것”이라고 말했다.

존 잭맨 전무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전 세계 9개 시장에 해상풍력발전 기록이 수립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든 연안설비의 84%가 유럽 11개국 연안에 위치했다. 나머지 16%는 주로 중국에 위치하고 있다. 그 뒤를 베트남, 일본, 한국, 미국, 대만이 잇고 있다.

존 잭맨 전무는 “2020년 이전 프로젝트는 6~9.5MW급 터빈을 사용할 예정”이라며 “2020년 이후 개발자들이 13~15MW급 플랫폼을 기대함에 따라 터빈 크기가 급격하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풍력발전단지 평균 규모는 발전시스템 비용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당한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존 잭맨 전무는 “2010년 158MW에서 2016년 380MW로 프로젝트별 평균 용량이 증가했다”며 “중국 해상풍력 개발의 급속한 성장은 가까운 장래에 평균 프로젝트 규모를 더욱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 시장 성숙도의 경우 더 큰 프로젝트 자금 조달로 이어졌다. 향후 3년간 68억달러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존 잭맨 전무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된 해상풍력 용량은 영국, 독일, 네덜란드, 중국의 핵심시장이 주도해 115GW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존 잭맨 전무에 따르면 2028년에는 전 세계 해상풍력 용량이 100GW를 초과한다. 이어 2030년 전 세계 해상풍력 용량이 115GW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존 잭맨 전무는 “영국, 독일, 네덜란드, 중국의 핵심시장은 계속해서 설치를 주도할 것”이라며 “대만과 미국 모두 GW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발표 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 한 참석자가 질의하고 있다.

예지보전,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신원 오닉스인싸이트 매니저는 해상풍력발전과 예지보전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신원 매니저는 “O&M에는 위험(Risk)이 있고 그것으로 인해 가동률과 이용률에 영향을 받는다”며 “O&M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건 계획된 비용과 비계획된 비용이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의 경우 잭업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용 자체가 상승할 수 있다. 때문에 고장상황을 미리 확인했을 경우 발생한 여러 개의 고장들을 묶어서 해상크레인 1대로 작업할 수 있다면 작업비용은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신원 매니저는 “예지보전은 굉장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유럽의 해상풍력에선 이미 검증이 거의 됐다”고 밝혔다.

이어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하는가 보다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라며 “그 부분에서 많은 데이터 축적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노르웨이 소재 에퀴노르(Equinor)의 클레어 해외르(Clare Heuer) 사업개발 매니저는 부유식 해상풍력시범단지 하이윈드(Hywind)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하이윈드는 밸러스트 하부 구조에 설치된다. 해저에 고정돼 있으며 단순한 하부 구조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지난해 영국 북동부 해양에 30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하이윈드 스코틀랜드(Hywind Scotland)’가 구축된 바 있다.

클레어 해외르 매니저는 “연안에서의 조립은 해상작업 시간과 위험을 줄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노르웨이 하이윈드 데모 프로젝트를 통해 60-70%의 비용을 절감했다”며 “2만 가구의 영국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레어 해외르 매니저에 따르면 하이윈드 스코틀랜드의 수심은 95~120m, 평균 풍속은 10.1m/s다. 단지 면적은 4km²다.

클레어 해외르 매니저는 “에퀴노르는 2030년까지 1MWh당 40~60유로의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는 하이윈드를 목표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에너지 비용은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 김성완 한국에너지공단 부장

풍력 ‘계획입지제도’ 윤곽… 40MW 이상 검토
김성완 한국에너지공단 태양광풍력사업단 부장은 지난해 연말 발표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가운데 관심을 모았던 ‘계획입지제도’의 향후 운영방안에 관해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김성완 부장은 “풍력에 적용되는 계획입지제도는 환경적 요소와 산업계 현실 등을 감안해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두 차례에 걸친 환경영향평가와 지역주민의 지분참여 등 제도도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설비규모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우선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육상과 해상풍력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설비용량 기준을 다각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가운데 40MW 이상 풍력단지에 한해 계획입지제도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성완 부장에 따르면 풍력 계획입지제도는 추진절차에 따라 ▲계획입지 지정 ▲발전지구 지정 ▲발전사업자 선정 ▲사업지구 지정 ▲사업지구 개발·시공 등 5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계획입지를 통해 정부가 지원·관리할 수 있는 대상지역을 지정하는 단계다. 산업부는 계획입지 신청안내와 접수·심의·선정을 진행하고, 선정된 지자체에 사업비와 전문가를 지원하게 된다. 다만 이 같은 업무는 산업부가 지정하는 전담기관에서 맡는다.

지자체는 수용성·환경성 등을 검토해 계획입지 신청서를 제출하고 심사 통과 후 세부 타당성조사와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추진하게 된다. 타당성조사·전략환경영향평가 등 초기 사업추진에 필요한 예산은 정부와 지자체가 50%씩 나눠서 부담하도록 했다.

지자체의 사업비 매칭은 책임감 있는 사업추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사업자로부터 기본계획수립에 소요된 비용을 돌려받을 예정이기 때문에 재정적 부담은 없다는 게 에너지공단 측의 설명이다.

두 번째 단계인 발전지구 지정은 세부 타당성조사를 비롯해 수용성·환경성 등을 검토한 후 적정 부지를 지정하는 과정이다.

지자체는 이 단계에서 풍황조사는 물론 경제성분석·전략환경영향평가·전파영향평가·주민동의서 등 발전지구로 지정받기 위해 필요한 개발계획을 직접 수립하고 수행해야 한다.

김성완 부장은 “개발계획을 수행하는 과정들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계획입지 전담기관에서 컨설팅을 지원하고 관련 전문기업이 용역에 참여할 예정”이라며 “전담기관에는 에너지공단과 한전이 거론되고 있지만 최종 선택은 산업부의 몫”이라고 말했다.

발전사업자 선정은 지자체장이 산업부 장관의 위임을 받아 진행하도록 했다. 지역주민 참여와 지역사회 발전전략·환경개선 노력 등에 따라 가산점이 부여될 예정이다. 지구개발 실시계획(사업지구) 인가완료 이전에는 사업권에 대한 양도·양수를 금지시킬 계획이다.

발전사업자로 선정된 기업은 사업지구로 지정받기 위해 실시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 이때 환경영향평가·해역이용영향평가 등을 받아야 한다. 기본계획수립 시 진행한 전략환경영향평가가 부지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면 환경영향평가는 복합적인 환경요인을 살펴보는 절차다.

▲ 2018 풍력산업 심포지엄에 참석한 내빈들이 행사 개최를 기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