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열병합발전 역할 중요”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열병합발전 역할 중요”
  • 박윤석 기자
  • 승인 2017.09.15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정준 회장, 분산전원 확대 등 전력산업 변화 인식해야
CP 확대 등 열병합발전 정상화 정책 지원 시급
▲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장은 9월 15일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열린 ‘제8차 에너지미래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서 정부의 에너지정책 전환에 따른 열병합발전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정부의 에너지정책 전환으로 에너지믹스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전체 전력산업을 포괄할 수 있는 세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에너지원별 연료에만 치우친 논쟁에서 벗어나 전력생산·송전·소비 등 전력산업 각 단계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장(SK E&S 사장)은 9월 15일 쉐라톤서울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열린 ‘제8차 에너지미래포럼’ 발제자로 나서 거시적 관점의 에너지정책 수립을 주장했다.

유정준 회장은 “우리나라 전력정책은 공급에 해당하는 전기생산에만 집중한 나머지 원자력·석탄·LNG·바이오 등 발전용 연료를 무엇으로 할지에 대한 논의만 하고 있다”며 “이젠 공급은 물론 송전과 소비단계까지 아우르는 에너지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전력산업, 생산·송전·소비 모두 고려해야
유정준 회장은 생산·송전·소비를 거치는 전력산업의 각 단계별 특성이 점차 변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생산은 탈탄소화(Decarbonization)를 통해 친환경화 되고, 송전은 탈중앙집중화(Decentralization)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종단계인 소비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통한 효율성 향상에 변화의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유정준 회장은 “연중 일일 최대전력수요의 편차가 지난해 기준 최대 37GWh까지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피크수요에 맞춰 신규 발전소를 건설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생각해볼 일”이라며 “이제는 디지털화와 탈중앙집중화를 통해 생산과 소비가 일치할 수 있도록 송전과 소비단계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또 “글로벌 에너지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여전히 해안가에 밀집해있는 원전이나 석탄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까지 장거리 송전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전력시스템의 탈중앙집중화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공급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열병합발전, 사회적 편익 크다
유정준 회장은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송전 부담이 적은 열병합발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전략이라고 역설했다. 탈중앙집중화와 탈탄소화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열병합발전이란 얘기다.

유정준 회장은 “대규모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이 주민반대나 민원에 부딪쳐 발전소 준공 이후에도 송전설비가 부족해 가동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열병합발전은 전력다소비 지역 내에 건설되는 대표적인 분산형전원으로 송전망 추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효율·친환경 발전방식”이라고 열병합발전의 특징을 설명했다.

이어 “전력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발전원이 바로 열병합발전”이라며 “실제 미국과 유럽연합 등은 열병합발전을 친환경 분산전원으로 정의하고 신재생에너지에 준하는 수준의 투자비지원과 세제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8차 전력수급계획에 열병합발전 지원책 반영 필요”
유정준 회장이 설명한 열병합발전의 역할과 효용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대부분의 열병합발전소들은 심각한 경영난에 빠져있다.

36개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 사업자 가운데 공기업인 한국지역난방공사와 한전과 직접 전력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GS파워를 제외하면 연간 1,500억원 상당의 적자를 보고 있다.

지역난방공사와 GS파워 두 곳을 제외한 업계 전체의 손실은 2011년 2,302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1,000억원이 넘는다.

유정준 회장은 이 같은 업계의 위기상황을 정상화시키고 분산전원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에 대한 지원정책 세 가지를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우선 고사위기에 처한 열병합발전 사업자들의 생존을 위해 연료비정산을 현실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현재 열병합발전 사업자는 열 생산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생산된 전기를 전력거래소로부터 원가 이하로 정산 받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두 번째로 열병합발전에 지급하는 고정비정산금(CP) 확대를 제안했다. 수요지 인근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 특성상 일반발전소에 비해 투자비·부지비 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분산형전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친환경 연료에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고정비 보상을 확대해 달라는 것이 골자다.

세 번째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과거에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해 2001년부터 9년간 총 5,200억원 상당의 지원을 받았지만 2010년 이후 사라진 상태다.

유정준 회장은 “친환경 분산형전원으로 전력시장에 기여하고 있는 열병합발전의 건강한 생태계조성을 위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