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산업 협의회,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에 따른 대응책 등 모색
발전기산업 협의회,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에 따른 대응책 등 모색
  • 이재용 기자
  • 승인 2016.12.07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진흥회관서 발전기 임직원 20여 명 참석
발전기‧ESS 간 융합영역 기술적 상생 필요

▲ 전기진흥회는 12월 6일 보국전기공업 등 발전기 업계 임직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기산업 협의회’를 개최했다.
비상발전기 업계가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 등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발전기 및 ESS 간 융합영역으로  기술적 상생을 통한 시장창출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는 12월 6일 전기진흥회관 대회의실에서 보국전기공업 등 발전기 업계 임직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기산업 협의회(회장 신성호)’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ESS의 비상발전기 적용방안’과 ‘ESS 주요 추진현황’에 대한 설명회를 통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비상전원용 ESS 가이드라인과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의 주요내용 및 관련규정 등 관련법을 살펴보고, 비상발전기 업계의 대응전략 마련을 협의했다.

ESS는 사회적 편익이 높고 배터리 비용하락과 특히 강점으로 부각돼 온 무정전 기능측면에서 적극적인 비상발전기 시장 참여가 불가피하다.

2017년부터는 계약전력 1,000kW 이상의 대규모 공공기관 건축물을 대상으로 계약전력의 일정비율(5%)을 ESS로 의무화함에 따라 ESS 시장이 비상전원용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이에 대한 발전기 산업계의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발전기 업계는 비상발전기의 환경적(소음, 매연 등), 기술적(9.15 순환정전 시 60% 동작불량) 오해를 불식 시키고, ESS와 비상발전기를 연계한 기술개발에 속도감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공동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비상발전기가 9.15 순환정전 시 60%가 운전을 하지 못했다는 언론사의 보도내용을 좀 더 면밀히 살펴 그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또 일반 발전기와는 달리 비상발전기는 환경규제를 받지않아 발생하는 매연문제를 지적하고, 오히려 동 기준을 상향시켜 시장 신뢰도 제고의 기회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협의회에 참석한 장세창 전기진흥회장은 "ESS 글로벌 시장이 2016년 3조원에서 2020년 약 15조원 규모로 커진다는 통계가 말해주듯이 ESS 투자에 대한 세계적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기 때문에 ESS와 비상발전기의 융합 등 새로운 환경에 걸 맞는 기술개발이나 공정한 경쟁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